단기합격전략
시험분석
[9급][국가직] 2025년 9급 국가직 필기 합격선 분석
2025.07.14
지난 2024년까지 국가직 9급 공채시험의 필기 합격선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특히, 2022년부터 직렬별 전문과목이 필수화되고 원점수가 합불에 반영되면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2025년에는 국어와 영어의 출제기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필기시험 합격선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행정직군의 경우, 2023년 82.5점에서 2024년 81.7점으로 하락했다가, 2025년에는 88.1점을 기록하며 합격선이 상승했다.
기술직군은 2023년과 2024년에 79점대를 유지하다가 2025년에는 86.9점으로 크게 상승했다.

2025년 필기 합격선 상승에는 공통과목의 난이도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국어는 출제기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난이도가 평이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2025년 시험에 응시한 공단기 회원을 대상으로 국어/영어 출제기조 변화에 따른 체감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절반 이상인 57.2%가 국어는 '쉬웠다' 또는 '매우 쉬웠다'고 응답하여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어에서 높은 점수를 확보한 수험생들이 전체 평균 점수를 끌어올리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의 출제기조 변화 과목인 영어는 '보통이었다'는 응답이 50.4%로 가장 높았으며,
'어려웠다' 또는 '매우 어려웠다'는 비율도 30.5%를 기록하여 국어에 비해 체감 난이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영어 과목 역시 직무형으로 변화하면서 독해 및 추론 영역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이라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수 수험생들이 변화된 난이도에 효과적으로 대비했음을 의미한다.
즉, 어려운 문항으로 인해 변별력은 확보되었으나, 기본 실력을 갖춘 수험생들이 충분히 득점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
이는 전체 합격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
한국사 과목은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대부분의 기출문제집을 충실히 학습하고 사료분석에 대한 대비가 어느 정도 되어있었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할 수 있는 시험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2025년 9급 국가직 직렬별 필기 합격선
2025년 국가직 필기 합격선을 직렬별로 살펴보면,
▲행정직군에서는 교육행정이 97점으로 올해도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했다.
이는 교육행정직에 대한 높은 선호도가 여전함은 반영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검찰이 93점으로 뒤를 이었으며, 채용인원이 가장 많은 일반행정은 전체 평균 90.3점을 기록했다.
특히, 근무처와 지역구분을 통해 단위모집을 실시하는 일반행정 직렬 중에서는 일반행정(중앙행정기관) 부산지역이 94점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였다.
▲기술직군에서 합격선이 가장 높은 직렬은 시설조경으로 95점을 기록했으며, 이어 전산개발이 93점을 기록했다.
2025년에 국가직에서 신규로 채용을 실시한 일반환경의 합격선은 86점이었다.

전년대비 직렬별 합격선 상승폭을 살펴보면,
▲행정직군의 경우 전체 평균 필기 합격선이 작년보다 6.4점 상승한 88.1점을 기록한 가운데,
교육행정직이 작년보다 4점 상승한 97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차지했다.
특히 교정(남), 세무, 통계, 청도경찰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의 합격선 상승폭을 보였으며,
합격선 상승폭이 가장 큰 직렬은 교정(남)으로 작년보다 17점 상승해 80점을 기록했다.
필기합격인원 비율 측면에서는 철도경찰 150.0%, 마약수사 143.8%, 직업상담 140.0%, 교정(남) 140.3%, 교정(여) 140.2% 등으로
140%를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기술직군의 필기 합격선도 전반적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전체 평균 필기 합격선은 86.9점으로 작년보다 7.2점 상승했다.
여러 직렬 중에서도 특히 방송통신(전송기술)은 전년 대비 무려 18점 상승한 81점을 기록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고,
전산직(데이터) 역시 10점 상승한 91점을 기록하는 등 합격선 상승이 두드러졌다.
필기합격인원 비율 측면에서는 화공직이 172.7%로 채용인원 11명 대비 19명이 필기 합격인원으로 가장 높은 배수를 보였고,
전산직(데이터) 154.5%, 시설조경 150.0%, 일반토목 145.6%, 건축 144.0% 등
대부분의 직렬이 1.4배수 내외 인원이 필기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채용인원 및 경쟁률/합격선 상세 확인